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19) 원소의 개수 - 합집합 원소의 개수 - 합집합 이런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집합 A와 B가 있구요. 우리는 집합 A의 원소 개수, 집합 B의 원소 개수, 집합 A와 B의 교집합의 원소 개수를 알고 있습니다. 이 정보들로 합집합을 구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집합 A와 B의 합집합을 상상해봅시다. A와 B가 합쳐질 때 A와 B중 한쪽은 교집합 만큼을 떼어내야 합니다. 머리속에 집합 A와 B를 떠올립시다. 이제 교집합 부분을 B에서 떼어냅시다. 이제 B는 한입 베어문 사과처럼 한쪽이 파여 있습니다. B를 A와 붙이게 되면 A와 B의 합집합이 됩니다. 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내 봅시다. 이제 우리는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상황을 좀 더 복잡하게 만들어봅시다. 집합 A,B,C 가 있습니다. 셋다 서로 겹치.. 2019. 1. 9.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8) 흡수, 드모르간, 부정법칙 흡수, 드모르간, 부정법칙 집합의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등을 집합의 '연산'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이미 연산을 배운 상태인 거것이죠. 집합의 연산에서 성립하는 6개의 법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교환법칙2) 결합법칙3) 분배법칙4) 흡수법칙5) 드모르간 법칙6) 부정법칙 오늘은 이들 중 뒤의 3가지를 배워봅시다. 먼저 흡수법칙입니다. 흡수법칙은 합집합연산을 하거나 교집합 연산을 할 때 양쪽에 있는 두 변 중 하나만 남겨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한쪽이 다른 쪽에 흡수된다는 의미죠. 한번 살펴봅시다 . 첫번째 식을 먼저 봅시다. A와 B의 교집합은 A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둘을 합하면 A가 됩니다. 당연하죠? 이번에는 두번째 식을 봅시다. A와 B의 합집합은 A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A와 B의 .. 2019. 1. 8.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7) 교환, 결합, 분배법칙 교환, 결합, 분배법칙 집합의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등을 집합의 '연산'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이미 연산을 배운 상태인 거것이죠. 집합의 연산에서 성립하는 6개의 법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교환법칙2) 결합법칙3) 분배법칙4) 흡수법칙5) 드모르간 법칙6) 부정법칙 오늘은 이들 중 앞의 3가지를 배워봅시다. 먼저 교환법칙입니다. 교환법칙은 교집합과 합집합에서 성립하는 법칙인데, 보면 받아들여지실 겁니다. 당연하죠? 이렇게 당연하게 성립하는 수식을 증명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고등학교과정에서는 받아들이고 넘어갑시다. 두번째는 결합법칙입니다. 결합법칙도 보시면 받아들여지실 겁니다.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은 벤다이어그램을 한번 그려보시기 바랍니다. 수의 사칙연산에서 덧셈/뺄셈과 유사합니다. 세번째는 .. 2018. 12. 18.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6) 집합의 서로소 집합의 서로소 서로소라는 말은 자연수를 다룰 때도 나온 적이 있습니다. 두 수가 서로소라는 것은 공약수가 1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집합에서의 서로소도 이와 비슷합니다. 두 집합의 교집합이 공집합밖에 없을때, 즉 두 집합의 공통된 원소가 하나도 없을 때 두 집합을 서로소라고 합니다. 서로소의 '소'는 한자로 본디, 바탕, 성질을 뜻하는 말입니다. 서로는 each other 할때 서로구요. 본디라는 말은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서로소는 서로가 각각 본래의 것이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됩니다. 서로가 각각 고유한 본래의 것이기 때문에 겹치는 부분이 없다는 것이죠. 집합 A와 B가 서로소일 때 아래의 성질을 만족합니다. 교집합이 공집합입니다. 공통된 원소가 없다는 말이죠. .. 2018. 12. 11.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5) 차집합의 성질 차집합의 성질 차집합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이 있습니다. 어렵지 않은 성질들입니다. 하나씩 알아봅시다. 1) 이다. 전체집합에서 A를 빼면, A의 여집합이 납습니다. 2) 이다 A와 B의 여집합의 겹치는 부분을 상상해봅시다. A에서 B가 빠진 곳에 해당되죠? A에서 A와 B의 교집합을 빼봅시다. 이때도 같은 곳이 남습니다. 3) 이면 이다. A에서 B를 뺐는데 아무 것도 남지 않았다면 둘은 어떤 관계인걸가요. B가 A의 모든 원소를 가지고 있따는 말이겠죠? B가 A를 포함하는 상황입니다. 2018. 12. 11.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4) 차집합 차집합 차집합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무언가를 '뺀'집합입니다. 아래 그립을 봅시다. 집합 A에서 B를 뺐습니다. 이 집합을 A 차집합 B, 또는 A에 대한 B의 차집합이라고 합니다. 기호로는 A-B 로 나타냅니다. 실제 예를 들어봅시다. 전체집합 U와 집합 A가 있습니다. A-B 를 구해봅시다. 우리가 방금 집합을 나타낸 방법은 '원소나열법'입니다. 만약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and 대신 '그리고'라고 써도 됩니다. 2018. 12. 11.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3) 여집합의 성질 여집합의 성질 여집합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이 있습니다. 어렵지 않은 성질들입니다. 하나씩 알아봅시다. 1) 이다. 아무것도 없는 것을 뺀 나머지 부분은 '전체'겠지요. 2) 이다 전체를 뺀 나머지는 '비어있다' 입니다. 3) 이다. A의 반대의 반대는 A입니다. 부정의 부정은 긍정이구요. '싫지 않다' 4) 이다. A와 A의 여집합은 공통된 원소가 하나도 없습니다. 5) 이다. A와 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합하면 전체가 됩니다. 2018. 11. 28.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2) 전체집합과 여집합 전체집합과 여집합 우리가 다루려는 대상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을 '전체집합'이라고 합니다. 전체집합은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만약 우리가 집합 {1,2,3,4,5} 만을 다루고자 한다면 이 집합이 전체집합이 되는 것입니다. 전체집합은 기호로 U라고 나타냅니다. 여집합은 전체집합에서 어떤 집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뜻합니다. 전체집합을 U라고 하고 어떤 집합을 A라고 한다면 전체집합 U에서 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A의 여집합이라고 합니다. 기호로는 로 나타냅니다. 실제 예를 들어봅시다. 전체집합 U와 집합 A가 있습니다. A의 여집합을 구해봅시다. 겹친다고 두번 쓰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방금 집합을 나타낸 방법은 '원소나열법'입니다. 만약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and 대신 '그리고'.. 2018. 11. 27.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1) 합집합의 성질 합집합의 성질 합집합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이 있습니다. 어렵지 않은 성질들입니다. 하나씩 알아봅시다. 1) A ⊂ B 이면, A ∪ B = B 이다. A가 B에 포함된다면, A가 B 안에 들어가 있는 모양입니다. 둘을 합하면 B가 됩니다. 2) A ∪ B = B 이면 A ⊂ B 이다. 1번 성질의 '역'입니다. 어떤 명제가 성립한다고 역이 반드시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이 경우는 성립하네요. A와 B의 합집합을 구했더니 B가 나왔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경우는 A가 B에 포함된는 경우 밖에는 없습니다. 3) A ∪ Φ = Φ 이다.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입니다. 어떤 집합에도 포함됩니다. 4) Φ ∪ Φ = Φ 이다. 당연하겠죠^^ 5) A ⊂ (A ∪ B) , B ⊂ (A ∪ B)이다. A.. 2018. 11. 27.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0) 합집합 합집합 합집합은 두 집합을 합친 것입니다. 원소의 입장에서 본다면 A와 B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A 또는 B에 포함되는) 원소들을 추린 것이죠.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호로는 이렇게 나타냅니다. A 합집합 B라고 부릅니다. A교집합 B라고 부릅니다. 실제 예를 들어봅시다. 집합 A와 B가 있습니다. 합집합을 구해봅시다. 겹친다고 두번 쓰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방금 집합을 나타낸 방법은 '원소나열법'입니다. 만약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or 대신 '또는'이라고 써도 됩니다.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9) 교집합의 성질 교집합의 성질 교집합에서 성립하는 몇가지 성질이 있습니다. 얼마든지 생각해낼 수 있는 간단한 성질들입니다. 하나씩 알아봅시다. 1) A ⊂ B 이면 A ∩ B = A 이다. A가 B에 포함된다면, A가 B 안에 들어가 있는 모양입니다. 당연히 A와 B의 겹치는 부분은 A겠지요. 2) A ∩ B = A 이면 A ⊂ B 이다. 1번 성질의 '역'입니다. 어떤 명제가 성립한다고 역이 반드시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이 경우는 성립하네요. A와 B의 교집합을 구했더니 A가 나왔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경우는 A가 B에 포함된는 경우 밖에는 없습니다. 3) A ∩ Φ = Φ 이다.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입니다. 따라서 어떤 집합과 공집합의 교집합을 구하면 공집합이 됩니다. 4) A ∩ A = A 이다. 당..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8) 교집합 교집합 교집합은 교차되는 집합을 의미한다. 두 집합이 있으면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이다. 원소의 입장에서 본다면 집합 A와 집합 B에 동시에 포함되는(A 그리고 B에 포함되는) 원소들을 추린 것입니다.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기호로는 이렇게 나타냅니ㅁ다. A 교집합 B 라고 부릅니다. A교집합 B라고 부릅니다. 실제 예를 들어봅시다. 집합 A와 B가 있습니다. 교집합을 구해봅시다. 우리가 방금 집합을 나타낸 방법은 '원소나열법'입니다. 만약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and 대신 '그리고'라고 써도 됩니다.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7) 부분집합의 개수 + 특정한 원소 부분집합의 개수 + 특정한 원소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듭니다. 만약 어떤 원소를 반드시 포함하도록 한다면 부분집합의 개수는 어떻게 될까. 오늘날 우리들은 이런 의문을 가질 새 없이 지식을 계속 습득해야 하지만 돈 많고 시간 많고 호기심 많던 옛사람들은 이런 의문도 가졌을 거에요. 말로만 설명해볼테니 한번 이해해봅시다. 상상력을 동원해서 우리 뇌를 성장시켜보죠. 어떤 집합 A가 있다고 해봅시다. A의 원소는 n개입니다.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입니다. 지난시간에 배웠습니다. A의 원수 n개 중에서 특정한 원소 k개를 반드시 포함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먼저 k개의 원소를 빼놓겠습니다. 그럼 A의 원소는 n-k개가 됩니다. n-k개의 원소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6) 부분집합의 개수 부분집합의 개수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해봅시다. 원소의 개수가 많지 않은 집합에서 먼저 구해보고 일반화시키도록 합시다. 아래와 같은 집합이 하나 있습니다. 집합 A의 부분집합을 구해봅시다. 몇개죠? 8개입니다. 원소의 개수가 많지 않아서 셀 수 있었지만 원소 개수가 10개면 어떨까요. 어느 세월에 세고 있을까요. 일반화시켜야 할 필요를 느낍니다. 원소의 개수가 n일 때 부분집합의 개수를 유도해봅시다. 나중에 조합을 배우면 쉽게 유도할 수 있는데, 지금은 조합을 모르는 상황입니다. 불편하지만 수형도를 이용해서 유도하겠습니다. 수형도가 뭐야? 라는 의문이 드는 분들도 어려운 개념이 아니니 보면 알게되실겁니다. 위에서 정의했던 집합 A의 부분집합을 수형도로 구해보겠습니다. 오른쪽으로 갈 수록 개수가 두배가 되는..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5) 서로 같은 집합, 진부분집합 서로 같은 집합, 진부분집합 두 집합이 서로 같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두 집합의 원소가 모두 같아야 합니다. 이때 두 집합을 서로 같다고 합니다. 두 집합이 서로 같다는 것을 조금 더 복잡하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A가 B에 포함되고, 반대로 B도 A에 포함된다면 어떨까요. 서로가 서로를 포함하는 상황은 두 집합이 같아야만 가능합니다. 집합 A와 A의 부분집합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집합 A의 부분집합 중에는 자기자신도 포함됩니다. 부분집합에서 자기 자신을 제외한다면, 진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집합만 남습니다. 이 집합을 진부분집합이라고 합니다. A의 진부분집합이 B라면 아래와 같은 조건이 성립합니다.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4) 부분집합의 정의, 개수, 합 부분집합의 정의, 개수, 합 집합 A와 B가 있다고 해봅시다. 만약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집합 A에 들어있을 때, B를 A의 부분집합이라고 합니다. 집합 A는 B를 포함한다고 말합니다. 기호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부분집합에서 기억해야할 두 가지 성질이 있습니다. 첫번째 성질은 공집합이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라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없는 것은 무언가 있는 것의 부분이라는 것이죠.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아도 됩니다. 약속이니까 기억하시면 되요. 두번째 성질은 모든 집합이 자기 자신의 부분집합이라는 것입니다. 설명이 필요없이 이해되실거라 생각합니다.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3)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방법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방법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무한집합은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없기 때문에 나타낼 수도 없습니다.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원소의 개수는 5개로 하겠습니다. n과 괄호( )는 the number of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n(A)는 the number of A 입니다.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2) 유한, 무한, 공집합 유한, 무한, 공집합 집합은 원소의 개수에 따라 두가지로 나뉩니다. 원소의 개수를 셀 수 있는 '유한집합'과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은 '무한집합'입니다. 유한집합을 예로 들면 10보다 작은 자연수의 집합이 있구요. 무한집합은 짝수의 집합이 있습니다. 유한집합 중에서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은 따로 이름을 붙어주었습니다. 바로 공집합 입니다. 공집합은 기호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기호를 사용합니다. 헷갈릴 수 있는 트릭?이 하나 있어 소개합니다. 아래 집합은 공집합일까요. 아닐까요. 공집합이 Φ 라는 기호를 원소로 갖는 집합입니다. 원소가 1개인 집합인 것이죠. 2018. 11. 26.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 집합과 원소, 집합의 표현 집합과 원소, 집합의 표현 집합은 '모임'입니다. 모든 모임이 집합은 아닙니다. 어떤 모임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확한 '기준'이 있어야 집합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목소리가 큰 사람들의 모임은 집합이 아닙니다.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들의 모임은 집합입니다. 집합에 속하는 모든 대상을 원소라고 합니다. 10보다 작은 짝수의 집합을 A라고 한다면 집합 A의 원소는 2,4,6,8이 있습니다. 원소는 집합에 속한다고 표현합니다. 2는 집합 A에 속합니다. 이를 기호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1은 집합 A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것도 기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벤다이어그램 입니다. 원소나열법은 .. 2018. 11. 26.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8) 점의 선 대칭이동 점의 선 대칭이동 1) x 축 대칭이동 점 (x,y)를 x축에 대해 대칭이동해봅시다. y좌표의 부호만 바꾸면 됩니다. (x,-y)가 됩니다. 2) y축 대칭이동 점 (x,y)를 y축에 대해 대칭이동하면 x 좌표의 부호가 바뀝니다. (-x,y)가 됩니다. 3) 직선 y=x 대칭이동 점 (x,y)를 y=x에 대해 대칭이동해봅시다. 대칭이동된 점을 (a,b)라고 놓고 유도해봅시다. 우리가 찾을 수 있는 정보를 모두 써봅시다. 1) (x,y)와 (a,b) 의 중점이 y=x 위에 있다.2) (x,y)와 (a,b) 의 기울기는 -1이다. 두 조건을 수식으로 세워봅시다. 먼저 첫번째 조건입니다. 두번쨰 조건입니다. 두 식을 연립하면 아래와 같이 구해집니다. 결론입니다. (x,y)를 직선 y=x 에 대해 대칭이동하면 .. 2018. 11. 5.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7) 도형의 평행이동 도형의 평행이동 수학에서 도형은 '점,선,면,체 또는 그것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중고등학교에서 많은 도형을 다뤘는데요. 그 중에서 수식으로 표현해본 것들을 떠올려봅시다. 원, 직선(일차함수), 포물선(이차함수)가 있습니다. 각각의 수식을 한번 써봅시다. 원 : 일차함수 : 이차함수 : 모든 항을 왼쪽으로 이항해봅시다 . 원 : 일차함수 : 이차함수 : 좌변은 x와 y에 대한 함수이고, 우변은 0이므로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도형의 방정식을 대표하는 형태입니다. 이제 이 도형을 평행이동해봅시다. x축으로 a만큼, y축으로 b만큼 이동합시다. 이동하기 전 도형 위의 임의의 점을 (x,y)라고 놓고, 이동된 도형 위의 임의의 점을 (x',y')라고 놓겠습니다. 우리가 해야할 일은 점(x',y').. 2018. 11. 5.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6) 점의 평행이동 점의 평행이동 좌표평면에 점 (x,y)가 있습니다. 이 점을 x축 방향으로 a만큼 이동시키면 점(x+a,y)가 됩니다. 다시 y축 방향으로 b만큼 이동시키면 점(x+a,y+b)가 됩니다. 점 (x,y)를 x축 방향으로 a, y축 방향으로 b 만큼 이동. 전체 모듈 한눈에보기 링크 2018. 10. 15.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5) 원의 접선의 방정식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직선) 원의 접선의 방정식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직선) 원 밖에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봅시다. 앞에서 배운 두 가지 상황(원위의 한점 또는 기울기) 중 하나를 가정해야 합니다. 1. 원 위의 한 점을 가정 원과 접하는 점을 (a,b)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접선의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구합니다. ......(1) 점가 이 직선을 지나므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 점(a,b)는 원 위의 점이므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3) 2,3번 식을 연립하면 a와 b를 구할 수 있습니다. 1번 식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이 구해집니다. 2. 기울기를 가정 1) 공식 이용 원 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점 가 이 직선을 지나므로.. 2018. 10. 14.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4) 원의 접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를 알 때) 원의 접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를 알 때) 기울기를 알 때 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접선의 기울기가 m이라고 하겠습니다. 가장 간단한 원부터 구해봅시다. 1. 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 m을 알고 있는 상황이니까. n을 구하면 됩니다.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판별식 이용 원의 방정식 과 접선을 연립했을 때, 한 점에서 만나기 때문에 중근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판별식의 값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위 두식을 연립합시다. 전개하고 내림차순으로 정리합니다. 판별식을 구합시다. 절반공식을 사용하겠습니다. n에 대해서 정리합시다. 결과를 접선의 방정식 n의 자리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구해집니다. 2) 점과 직선사이의 거리 이용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 r과 같다.. 2018. 10. 13.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3) 원의 접선의 방정식 (원 위의 점을 알 때) 원의 접선의 방정식 (원 위의 점을 알 때) 원 위의 한 점을 알 때, 그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봅시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원 부터 시작해 볼게요. 1.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위 그림을 봅시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접선의 기울기만 알면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기울기는 생각보다 쉽게 구해할 수 있습니다. 직선 OP를 봅시다. 직선 OP의 기울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런데 직선 OP와 접선은 서로 수직관계입니다.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접선의 기울기와 한점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세우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 식을 이용해서 접선의 방정색을 구해도 되지만 더 멋진 방법이 있어서 한번 더 변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식의 양변에 을 곱해봅시다. 아래와 같이 이.. 2018. 10. 12.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2)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 거리 이용)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 거리 이용) 원과 직선이 가질 수 있는 관계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만나지 않는다. 이 관계를 판별하는 방법 중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보다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아래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2. 한 점에서 만난다. 원과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난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3. 만나지 않는다.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는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 2018. 10. 9.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1)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판별식 이용)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판별식 이용) 원과 직선이 가질 수 있는 관계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만나지 않는다. 이 관계를 판별하는 방법 중 판별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원의 방정식과 직선의 방정식을 하나씩 정의해봅시다. 두 식을 연립하면 아래 식을 얻습니다. x에 대한 이차방정식입니다.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면, 원과 직선의 연립방정식의 해는 두개가 나옵니다. 따라서 원과 직선을 연립한 방정식의 판별식 D가 0보다 커야합니다. 조건 : D > 0 (서로 다른 두 실근) 2. 한 점에서 만난다. 원의 방정식과 직선의 방정식을 하나씩 정의해봅시다. 두 식을 연립하면 아래 식을 .. 2018. 10. 9.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20) 공통외접선, 내접선의 길이 공통외접선, 내접선의 길이 두 원에 그을수 있는 공통접선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공통내접선과 공통외접선입니다. 1. 공통외접선의 길이 두 원의 공통외접선은 아래 그림의 선분 AB 입니다. 아래 그림의 삼각형 CC'H에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하면 공통외접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2. 공통내접선의 길이 두 원의 공통내접선은 아래 그림의 선분 AB 입니다. 아래 그림의 삼각형 CC'H에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하면 공통내접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overline{AB}^2=d^2-(r+r')^2$ $\overline{AB}=\sqrt{d^2-(r+r')^2}$ 전체 모듈 한눈에보기 링크 2018. 10. 9.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19) 두 원의 위치관계 두 원의 위치관계 두 원이 가질 수 있는 위치는 다섯가지가 있습니다. 1. 만나지 않고, 공통 부분이 없음 (한 원이 다른 원의 외부에 있음) r,r',d 의 관계를 따져봅시다. r과 r'을 더한 값보다 d의 크기가 큽니다. 따라서 아래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2. 한 점에서 만나고, 공통 부분이 없음 (두 원이 외접함) r,r',d 의 관계를 따져봅시다. r과 r'을 더한 값과 d의 크기가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3. 두 점에서 만남 r,r',d 의 관계를 따져봅시다. r과 r'을 더한 값이 d의 크기보다 큽니다. 따라서 아래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그런데 이 조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d가 계속 작아지다 보면 작은 원이 큰 원 안에 포함되는 지점이 있습니다. 그 지점은 r-r'과.. 2018. 10. 9.
[모듈식 수학 (상)] 3. 도형의 방정식 (18) 공통현의 방정식 공통현의 방정식 두 원의 공통현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통현은 두 원의 교점을 연결한 선분입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선분 AB입니다. 1. 두 원의 공통현의 성질 두 원의 공통현과 중심선은 중심선에 의해 수직이등분된다는 성질이 있습니다. 왜 위 성질이 성립할까요? 이 성질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사고력이 성장합니다. 성립하는 이유를 이해해봅시다. 아래 그림에서 삼각형 ACC'와 BCC'를 봅시다. 선분 AC와 BC의 길이가 같고, AC'와 BC'의 길이가 같습니다. 또한 선분 CC'는 공통변입니다. 따라서 두 삼각형은 SSS 합동입니다. 이 합동에 의해서 ∠ACB와 ∠BCA 는 크기가 같습니다. 따라서 선분 CC'는 이등변삼각형 ACB의 변 AB의 수직이등분선이 됩니다. 2. 공통현의 방정식 지난시간에 배운 두.. 2018.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