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학268

[5분 고등수학] 상용로그의 소수부분 상용로그는 밑이 10인 로그를 말합니다. 양수 N의 상용로그는 아래와 같습니다. $\log_{10}N$ 고등수학 과정에서는 10을 생략하여 나타냅니다. $\log N$ 이 로그의 정수부분을 n, 소수부분을 $\alpha$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등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log N=n+\alpha \ (0 \leq \alpha 2021. 10. 26.
[5분 고등수학] 로그의 성질 증명 (2) 로그의 성질 두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아래 다섯가지 성질을 유도했습니다. 1) $\log_{a}1=0$ 2) $\log_{a}a=1$ 3) $\log_{a}xy=\log_{a}x+\log_{a}y$ 4) $\log_{a}\frac{x}{y}=\log_{a}x-\log_{a}y$ 5) $\log_{a}x^{n}=n\log_{a}x$ 또한 두가지 밑변환 공식도 유도했습니다. 오늘은 아래 여섯가지 성질을 유도하겠습니다. 증명에 위 성질들이 사용됩니다. 6) $\log_{a}b\cdot \log_{b}a=1 \ (a>0,a\neq 1,b>0,b\neq 1)$ 7) $\log_{a}b\cdot \log_{b}c \log_{c}a=1 \ (a,b,c>0 \ and \ a,b,c\neq 1)$ 8) $\lo.. 2021. 10. 22.
[5분 고등수학] 로그의 밑 변환 공식 로그의 밑 변환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log_{a}b=\frac{\log_{c}{b}}{\log_{c}a}$ 2) $\log_{a}b=\frac{1}{\log_{b}a}$ 하나씩 증명해봅시다. 1) $\log_{a}b=\frac{\log_{c}{b}}{\log_{c}a}$ 아래와 같이 두 로그를 각각 x와 y로 놓겠습니다. $\log_{a}b=x$ $\log_{c}a=y$ 로그의 정의에 의해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b=a^{x}$ $a=c^{x}$ 위 첫번째 식의 a자리에 두번째 식을 넣어줍시다. $b=\left ( c^{y} \right )^{x}=c^{xy}$ 로그의 정의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변형합시다. $\log_{c}b=xy$ x와 y를 원래 값으로 바꿔줍시다. $\l.. 2021. 10. 22.
[5분 고등수학] 실수의 n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의 개수 먼저 아래 두 용어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봅시다. "n 제곱은 a" "a의 n제곱근" 전자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sqrt[n]{a}$ 후자인 a의 n제곱근을 x라고 놓는다면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x^{n}=a$ a의 n제곱근은, n제곱해서 a가 되는 수 입니다. 오늘 우리가 배워볼 주제입니다. a의 n제곱근의 개수는 n이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가 다릅니다. 1) n이 짝수인 경우 아래 등식을 함수로 해석해 봅시다. $x^{n}=a$ 위 등식의 x값은 아래 두 함수의 교점의 x값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y=x^{n}$ $y=a$ n이 짝수인 경우 $y=x^{n}$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a의 부호에 따라 $y=a$ 는 아래와 같이 그려집니다. a가 양수인 경우는 근을.. 2021. 10. 8.
[5분 고등수학]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1제곱) 자연수 거듭제곱의 합공식을 유도해봅시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합공식은 세가지입니다. 1제곱의합, 2제곱의합,3제곱의합. 이번 글에서는 1제곱의 합 공식을 유도해보겠습니다. 1제곱의 합공식 1부터 n까지의 합입니다. 시그마 기호를 이용한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sum_{k=1}^{n}k=1+2+ \cdots + n$ 등차수열의 합입니다. 첫항이 1, 공차도 1입니다. $\sum_{k=1}^{n}k=\frac{n(n+1)}{2}$ 2021. 9. 25.
[5분 고등수학] 등비수열의 합 등비수열은 '비(ratio)'가 일정한 수열입니다. 일정한 비를 공비라고 부릅니다. 첫째항을 a, 공비를 r이라고 놓았을 때 수열은 아래와 같습니다. $a_{1}=a$ $a_{2}=ar$ $a_{3}=ar^{2}$ $a_{4}=ar^{3}$ ... $a_{n}=ar^{n-1}$ 이때 $a_{n}$을 일반항이라고 부릅니다. 등비수열의 합을 구해봅시다. 등비수열의 합은 $S_{n}$ 이라고 나타냅니다. 수열의 첫째항 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을 의미합니다. $S_{n}=a_{1}+a_{2}+ \cdots +a_{n}$ 첫항이 a이고 공비가 r인 등차수열의 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S_{n}=\frac{a\left ( 1-r \right )^{n}}{1-r}$ 이 공식을 유도해봅시다. 첫항부터 n번째 항까지의 .. 2021. 9. 24.
[5분 고등수학] 등차수열의 합 등차수열은 차이가 일정한 수열입니다. 일정한 차이를 공차라고 부릅니다.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놓았을 때 수열은 아래와 같습니다. $a_{1}=a$ $a_{2}=a+d$ $a_{3}=a+2d$ $a_{4}=a+3d$ ... $a_{n}=a+(n-1)d$ 이때 $a_{n}$을 일반항이라고 부릅니다. 등차수열의 합을 구해봅시다. 등차수열의 합은 $S_{n}$ 이라고 나타냅니다. 수열의 첫째항 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을 의미합니다. $S_{n}=a_{1}+a_{2}+ \cdots +a_{n}$ 첫항이 a이고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S_{n}=\frac{n\left \{ 2a+d(n-1) \right \}}{2}$ 이 공식을 유도해봅시다. 첫항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을 오름차순으로.. 2021. 9. 24.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 대소비교 증명 산술, 기하, 조화평균의 대소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frac{a+b}{2} \geq \sqrt{ab} \geq \frac{2ab}{a+b}$ 대소비교가 성립하는 조건은 a,b 가 양수라는 것입니다. 이유는 증명과정에서 나옵니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대소관계 먼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대소관계를 증명해봅시다. $\frac{a+b}{2} \geq \sqrt{ab}$ 양변에 2를 곱합시다. $a+b \geq 2\sqrt{ab}$ 양변을 제곱합시다. 제곱 후에도 부등호가 유지되려면 양변이 양수라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양변이 양수려면 a,b가 양수여야 합니다. a 또는 b가 0일 때도 성립을 하므로, 0보다 같거나 크면 됩니다. $(a+b)^{2} \geq 4ab$ 전개합시다. $a^{2}+2ab+b^{2.. 2021. 9. 23.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은 어디에 쓸까? 평균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산술, 기하, 조화평균입니다. 각 평균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두 수 a와 b의 평균입니다. 산술평균 : $\frac{a+b}{2}$ 기하평균 : $\sqrt{ab}$ 조화평균 : $\frac{2ab}{a+b}$ 세 평균의 대소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frac{a+b}{2} \geq \sqrt{ab} \geq \frac{2ab}{a+b}$ 대소관계 증명은 다음 글에서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평균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아봅시다. 산술평균 우리가 흔히 '평균'이라고 부르는 평균이 산술평균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시험점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수학시험점수가 90점이고, 영어시험점수가 100점이면 두 과목의 산술평균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frac{90+10.. 2021. 9. 22.
[5분 고등수학] 배수집합의 교집합과 합집합 배수집합은 어떤 자연수의 배수로 만든 집합입니다. 어떤 자연수를 k라고 했을 때, 이 자연수의 배수집합은 기호로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A_{k}$ 예를 들어 2의 배수의 집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A_{2}=\left \{ 2,4,6,8,... \right \}$ 교집합 배수집합의 교집합에 대해 알아봅시다. 두 자연수 m과 n의 배수집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A_{m}=\left \{ m,2m,3m,4m,... \right \}$ $A_{n}=\left \{ n,2n,3n,4n,... \right \}$ 두 수의 최소공배수를 $r$ 이라고 한다면, 두 집합의 교집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A_{m}\cap A_{n}=A_{r}$ 두 수의 공배수의 집합은 두 수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의 집합과 같기 때문입.. 2021. 9. 22.
[모듈식 수학 2] 3.적분 (11) 정적분의 정의 [수학2]-[3.적분]-[②정적분]-[(11) 정적분의 정의] 정적분의 정의 정적분은 구분구적법의 수식을 쓰기편한 기호로 바꾸는 과정에서 정의되었습니다. 미분과 무관하게 시작되었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정적분은 미분의 역과정인 부정적분에 적분 구간을 붙여서 만든게 아닙니다. 정적분은 구분구적법에서 정의된 개념입니다. 먼저 우리가 지난시간까지 유도한 구분구적법 수식을 가져옵시다. 함수 f(x)에서 x=a 부터 x=b 까지의 넓이 S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앞에 붙어있는 기호는 Σ 는 Sigma 입니다. 이 Sigma의 첫글자인 S를 따서 적분 기호를 만들었습니다. 위 수식을 아래와 같이 변형하였습니다. 이 수식을 함수 f(x)에서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고 합니다. 위와 같이 변환한 과.. 2020. 9. 15.
[모듈식 수학 2] 3.적분 (9)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2 [수학2]-[3.적분]-[②정적분]-[(9)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2 우리는 지난시간에 구분구적법을 배웠습니다. 구분구적법은 넓이를 구하고 싶은 부분을 n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넓이를 각각 구해 합하고, n을 무한대로 보내서 원하는 넓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지난시간의 예시를 다시 가져옵시다. x=a 부터 x=b 사이의 넓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직사각형 조각을 만들 때, 함수보다 작게 만들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을 lower sum 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직사각형을 함수보다 크게 만들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첫 사각형의 넓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두번째 사각형도 그려봅시다. 두번째 사각형의 넓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k번째 사각형을 그려봅시다. k 사각형의.. 2020. 9. 8.
[모듈식 수학 2] 3.적분 (8)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1 [수학2]-[3.적분]-[②정적분]-[(8)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아버지 1 우리는 정적분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정적분의 정의를 배울 차례인데요. 구분구적법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 구분구적법 없이는 정적분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정적분은 구분구적법에서 나온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구분구적법은 함수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구분구적법을 배우기 전에 제가 문제 하나를 내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함수 f(x)가 있는데, x=a 부터 x=b 사이의 넓이 S를 구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각자 한번 구해봅시다. 수학의 선배들이 구분구적법을 찾아낼 때 맞이한 상황입니다. 그들은 스스로 찾아냈습니다. 우리도 한번 시도해봅시다. 이런 시도가 수학의 진정한 재미를 가져다줍니다. 아마 성공.. 2020. 8. 26.
[모듈식 수학 2] 3.적분 (7) 정적분의 정의는 이게 아니다 [수학2]-[3.적분]-[②정적분]-[(7) 정적분의 정의는 이게 아니다] 정적분의 정의는 이게 아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부정적분을 배웠습니다. 미분의 반대가 부정적분이었는데요. 부정적분이라는 이름에 붙어있는 부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부정적분이라는 이름은 이후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원래는 미분이 있고 미분에 반대개념인 적분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정적분이 발견되고, 정적분과 미분의 반대개념인 적분을 연결하는 엄청난 발견을 합니다. 이후 정적분과 구분해 주기 위해 미분의 반대개념의 적분은 '부정적분'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정적분과 정적분을 연결하는 엄청난 발견을 '미적분의 기본정리'라고 부릅니다. 미적분의 기본정리는 정말 놀라운 발견입니다. 뉴튼은 이 정리를 발견하고 이.. 2020. 7. 12.
[모듈식 수학 2] 3.적분 (6) 함수의 차의 부정적분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6) 함수의 차의 부정적분] 함수의 차의 부정적분 f(x)의 부정적분을 F(x)+C₁ 라고 놓고 g(x)의 부정적분을 G(x)+C₂라고 놓겠습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F(x)-G(x)}를 미분하면 f(x)-g(x) 이므로 {F(x)-G(x)}은 f(x)-g(x)의 부정적분입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우변의 적분상수 C₃ 를 아래와 같이 나눠서 쓰겠습니다. 적분상수라는 것은 '상수라면 뭐든 올 수 있어'라는 의미 이므로 둘로 나눠도 상관 없습니다. 우변의 첫 두항은 f(x)의 부정적분, 나머지 두 항은 g(x)의 부정적분 이므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020. 6. 29.
[모듈식 수학 2] 3.적분 (5) 함수의 합의 부정적분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5) 함수의 합의 부정적분] 함수의 합의 부정적분 f(x)의 부정적분을 F(x)+C₁ 라고 놓고 g(x)의 부정적분을 G(x)+C₂라고 놓겠습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F(x)+G(x)}를 미분하면 f(x)+g(x) 이므로 {F(x)+G(x)}은 f(x)+g(x)의 부정적분입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우변의 적분상수 C₃ 를 아래와 같이 나눠서 쓰겠습니다. 적분상수라는 것은 '상수라면 뭐든 올 수 있어'라는 의미 이므로 둘로 나눠도 상관 없습니다. 우변의 첫 두항은 f(x)의 부정적분, 나머지 두 항은 g(x)의 부정적분 이므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020. 6. 25.
[모듈식 수학 2] 3.적분 (4) 함수의 실수배의 부정적분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4) 함수의 실수배의 부정적분] 함수의 실수배의 부정적분 f(x)의 부정적분을 F(x)+C라고 놓겠습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양변을 미분하면 아래 등식도 성립합니다. 양변에 k를 곱합시다. kF'(x)는 {kF(x)}' 와 같습니다. 곱의 미분법을 적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kF(x)를 미분한 결과가 kf(x) 이므로, kF(x)는 kf(x)의 한 부정적분이고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사용한 C와 구분하기 위해 C2로 써주었습니다. k로 우변을 묶어봅시다. 대괄호 안의 C2/k 는 적분상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C2가 모든 값이 될 수 있는 적분상수 이므로, 이 값을 k로 나눠도 의미는 달라지지.. 2020. 6. 24.
[모듈식 수학 2] 3.적분 (3) y=xⁿ 의 부정적분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3) y=xⁿ 의 부정적분분] y=xⁿ 의 부정적분 y=xⁿ 의 부정적분을 구해봅시다. 부정적분을 F(x)라고 놓겠습니다. 미분하여 xⁿ 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면 됩니다. 다항함수는 미분을 하면 차수가 줄어듭니다. 예를들어 x³ 를 미분하면 3x² 됩니다. 차수가 3차에서 2차로 줄어든 것입니다. 미분하여 xⁿ 이 되는 함수는 n보다 차수가 하나 큰 n+1입니다. 따라서 n+1차가 됩니다. 계수는 아직 모르기 때문에 a라고 두겠습니다. 적분상수는 C로 놓겠습니다. F(x)를 미분하여 y=xⁿ 이 나오도록 하는 a를 찾으면 됩니다. 미분해봅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등식이 성립해야합니다. a는 아래와 같습니다. F(x)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부.. 2020. 6. 23.
[모듈식 수학 2] 3.적분 (2) 부정적분의 미분과 미분의 부정적분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2) 부정적분의 미분과 미분의 부정적분] 부정적분의 미분과 미분의 부정적분 1) f(x)의 부정적분의 미분 f(x)의 부정적분은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위 부정적분을 다시 x로 미분해봅시다. 결과가 무엇일까요? f(x)의 부정적분을 F(x)+C 라고 놓겠습니다. 양변을 x로 미분하면, 우변은 f(x)가 됩니다. 따라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f(x)의 부정적분의 미분은 f(x)입니다. 2. f(x)의 미분의 부정적분 f(x)를 x로 미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 함수의 부정적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결과가 무엇일까요? 위 부정분을 g(x)라고 놓아봅시다. 양변을 x로 미분합시다. 좌변으로 이항하고 묶어줍시다. 자리를 바꿔씁시다. 미분한 결과가 0이므로, 괄호 안.. 2020. 6. 9.
[모듈식 수학2] 2.미분 (21)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2) 기울기를 알 때 [수학2]-[2.미분]-[②미분]-[(21)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2) 기울기를 알 때 미분 가능한 함수 f(x)가 있다고 합시다. 이 함수에 접하는 접선이 있습니다. 우리는 기울기만 알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울기는 m이라고 합니다. 이 접선의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봅시다. 먼저 이 접선이 함수 f(x)와 만나는 점을 (a,f(a))라고 놓겠습니다. 이 점에서의 미분계수는 f'(a)인데 m과 같습니다. f'(a)=m 위 등식을 이용하면 a를 구할 수 있습니다. a가 구해지면 직선의 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2020. 3. 19.
[모듈식 수학2] 2.미분 (20)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1) 접점의 좌표를 알 때 [수학2]-[2.미분]-[②미분]-[(20)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미분계수를 이용한 접선의 방정식 (1) 접점의 좌표를 알 때 x=a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있다고 합시다. x=a에서의 미분계수 f'(a)는 순간변화율입니다. 기하적으로는 접선의 기울기입니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f(x)위의 한 점 (a,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f(x)가 쉽게 미분이 된다면 말이죠. (a,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a)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2020. 3. 17.
[모듈식 수학2] 2.미분 (19) 미분을 이용한 나머지정리 [수학2]-[2.미분]-[①미분]-[(19) 미분을 이용한 나머지 정리] 미분을 이용한 나머지 정리 나머지정리가 무엇이었는지 먼저 복습해봅시다. 나머지정리는 수학 (상)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나머지정리를 풀어서 설명하면 '다항식의 나눗셈을 할 때, 나머지를 쉽게 구하는 방법' 입니다. 다항식 f(x)를 (x-a) 로 나눌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 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미분을 나머지정리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공부해봅시다. 이차 이상의 다항식 f(x)가 있다고 합시다. 이 이차다항식을 (x-a)² 으로 나눴습니다. 나머지정리를 적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 식의 양 변을 미분해봅시다. 1과 2에 각각 a를 대입하면 아래 두 식을 얻습니다. 위 두 식을 연립하여.. 2020. 3. 11.
[모듈식 수학2] 2.미분 (18) 함수의 n제곱의 미분, {f(x)^n}' [수학2]-[2.미분]-[①미분]-[(18) 함수의 n제곱의 미분, {f(x)^n}'] 함수의 n제곱의 미분, {f(x)^n}'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있습니다. 이 함수를 n제곱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1강에서 사용한 인수분해를 적용합시다. (https://hsm-edu-math.tistory.com/340) 아래와 같이 두 부분으로 구분해봅시다.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빨간 부분은 f'(x)입니다. 파란부분의 항들은 각각 f(x)^n-1로 수렴합니다. 총 수는 n개입니다. 따라서 극한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0. 3. 10.
[모듈식 수학2] 2.미분 (17) 세 함수의 곱의 미분 [수학2]-[2.미분]-[①미분]-[(17) 세 함수의 곱의 미분] 세함수의 곱의 미분 두 함수의 곱의 미분은 지난시간에 배웠습니다. 두 함수의 미분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오늘은 세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미분가능한 함수 f(x), g(x), h(x)가 있습니다. 세 함수를 곱해봅시다. f(x)g(x)h(x) 위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먼저 f(x)를 하나의 함수 g(x)h(x)를 다른 하나의 함수로 생각하는 겁니다. 두 함수의 곱의 미분을 적용할 수 있고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파란색 항을 미분합시다. 전개합시다. 2020. 3. 9.
[모듈식 수학2] 2.미분 (16) 함수의 곱의 미분 [수학2]-[2.미분]-[①미분]-[(16) 함수의 곱의 미분] 함수의 곱의 미분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와 g(x)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곱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도함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분자에 f(x)g(x+h) 를 빼고 더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묶어줍니다. 식을 둘로 나눠줍니다. 극한을 둘로 나눠줍니다. 두 항 모두 수렴하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빨간 부분의 극한값은 f(x)의 도함이고, 파란부분의 극한값은 g(x)의 도함수입니다. 따라서 극한값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0. 3. 6.
[모듈식 수학2] 2.미분 (15) 함수의 차의 미분 [수학2]-[2.미분]-[①미분]-[(15) 함수의 차의 미분] 함수의 차의 미분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와 g(x)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도함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변형합시다. 두 함수 모두 미분가능하므로,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극한값은 각 함수의 도함수입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020. 3. 5.
[모듈식 수학2] 2.미분 (14) 함수의 합의 미분 [수학2]-[2.미분]-[①미분]-[(14) 함수의 합의 미분] 함수의 합의 미분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와 g(x)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두 함수를 합한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도함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변형합시다. 두 함수 모두 미분가능하므로,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극한값은 각 함수의 도함수입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020. 3. 4.
[모듈식 수학2] 2.미분 (13) 함수의 실수배의 미분 [수학2]-[2.미분]-[①미분]-[(13) 함수의 실수배의 미분] 함수의 실수배의 미분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있습니다. 이 함수에 실수 c를 곱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함수를 미분해봅시다. 도함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분자를 c로 묶을 수 있습니다. c는 상수이므로 극한기호 밖으로 꺼낼 수 있습니다. 극한 부분은 f(x)의 미분입니다.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2020. 2. 28.
[모듈식 수학2] 2.미분 (12) y=c의 도함수 [수학2]-[2.미분]-[①미분]-[(12) y=c 의 도함수] y=c 의 도함수 도함수의 정의를 에 적용해봅시다. 도함수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f(x+△) 는 c입니다. f(x)도 c입니다. 위 식에 대입합시다. 따라서 y'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0. 2. 27.
[모듈식 수학2] 2.미분 (11) y=axⁿ의 도함수 [수학2]-[2.미분]-[①미분]-[(11) y=axⁿ의 도함수] y=axⁿ 의 도함수 도함수의 정의를 에 적용해봅시다. 분자를 인수분해해야합니다. 먼저 아래 식을 인수분해해봅시다. a를 해로 갖는다는건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x-a)를 인수로 가집니다. 괄호 안에는 무엇이 들어가야 할까요. 이 만들어져야 하므로, 가장 첫 자리에는 아래와 같이 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 다음자리에는 뭐가 들어가야할까요. 우리가 쓴 부분까지만 전개해보면 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아래 항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항을 추가해 나가면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맨 위의 미분계수 식에 적용해봅시다. 빨간 부분을 계산합시다. 약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극한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몇개가.. 2020.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