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집합
교집합은 교차되는 집합을 의미한다. 두 집합이 있으면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이다. 원소의 입장에서 본다면 집합 A와 집합 B에 동시에 포함되는(A 그리고 B에 포함되는) 원소들을 추린 것입니다.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기호로는 이렇게 나타냅니ㅁ다. A 교집합 B 라고 부릅니다.
A교집합 B라고 부릅니다. 실제 예를 들어봅시다. 집합 A와 B가 있습니다.
교집합을 구해봅시다.
우리가 방금 집합을 나타낸 방법은 '원소나열법'입니다. 만약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and 대신 '그리고'라고 써도 됩니다.
반응형
'수학(하) > 1. 집합과 명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2) 전체집합과 여집합 (0) | 2018.11.27 |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1) 합집합의 성질 (0) | 2018.11.27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10) 합집합 (0) | 2018.11.26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9) 교집합의 성질 (0) | 2018.11.26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7) 부분집합의 개수 + 특정한 원소 (0) | 2018.11.26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6) 부분집합의 개수 (0) | 2018.11.26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5) 서로 같은 집합, 진부분집합 (0) | 2018.11.26 |
[모듈식 수학 (하)] 1. 집합과 명제 (4) 부분집합의 정의, 개수, 합 (0) | 2018.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