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은 차이가 일정한 수열입니다. 일정한 차이를 공차라고 부릅니다.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놓았을 때 수열은 아래와 같습니다.
a1=aa1=a
a2=a+da2=a+d
a3=a+2da3=a+2d
a4=a+3da4=a+3d
...
an=a+(n−1)dan=a+(n−1)d
이때 anan을 일반항이라고 부릅니다.
등차수열의 합을 구해봅시다. 등차수열의 합은 SnSn 이라고 나타냅니다. 수열의 첫째항 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을 의미합니다.
Sn=a1+a2+⋯+anSn=a1+a2+⋯+an
첫항이 a이고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Sn=n{2a+d(n−1)}2Sn=n{2a+d(n−1)}2
이 공식을 유도해봅시다. 첫항부터 n번째 항까지의 합을 오름차순으로 한번 쓰고 내림차순으로도 한번 써봅시다.
Sn=a+{a+d}+⋯+{a+(n−2)d}+{a+(n−1)d}Sn=a+{a+d}+⋯+{a+(n−2)d}+{a+(n−1)d}
Sn={a+(n−1)d}+{a+(n−2)d}⋯+{a+d}+aSn={a+(n−1)d}+{a+(n−2)d}⋯+{a+d}+a
두 식을 더해줍니다.
2Sn={2a+(n−1)d}+{2a+(n−1)d}⋯+{2a+(n−1)d}+{2a+(n−1)d}2Sn={2a+(n−1)d}+{2a+(n−1)d}⋯+{2a+(n−1)d}+{2a+(n−1)d}
우변은 모든 항이 같습니다. 같은 항이 n개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2Sn=n{2a+(n−1)d}2Sn=n{2a+(n−1)d}
양변을 2로 나눠주면 됩니다.
Sn=n{2a+(n−1)d}2Sn=n{2a+(n−1)d}2
위 공식은 매번 유도할 수 없으니 외워서 사용해야 합니다. 쉽게 외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2a를 둘로 분리해서 써봅시다.
Sn=n{a+a+(n−1)d}2Sn=n{a+a+(n−1)d}2
n은 항의 개수입니다. a는 첫째항이고 a+(n-1)d 는 마지막 항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외울 수 있습니다.

"이분의 항 초 말"
'고등수학 5분증명(2009개정) > 수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 고등수학]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2제곱) (0) | 2021.09.29 |
---|---|
[5분 고등수학]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1제곱) (0) | 2021.09.25 |
[5분 고등수학] 단리법, 복리법 (0) | 2021.09.25 |
[5분 고등수학] 등비수열의 합 (0) | 2021.09.24 |
[5분 고등수학] 역함수의 성질 (1)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 대소비교 증명 (0)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은 어디에 쓸까? (1) | 2021.09.22 |
[5분 고등수학] 배수집합의 교집합과 합집합 (0) | 2021.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