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산술, 기하, 조화평균입니다. 각 평균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두 수 a와 b의 평균입니다.
산술평균 : a+b2
기하평균 : √ab
조화평균 : 2aba+b
세 평균의 대소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a+b2≥√ab≥2aba+b
대소관계 증명은 다음 글에서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평균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아봅시다.
산술평균
우리가 흔히 '평균'이라고 부르는 평균이 산술평균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시험점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수학시험점수가 90점이고, 영어시험점수가 100점이면 두 과목의 산술평균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90+1002=95
기하평균
기하평균은 늘어난 배수의 평균을 구할 때 사용합니다. 연봉이 2년 전에는 a원이고, 작년에는 두배 올라서 2a원이고, 올해는 다시 세배가 올래서 6a원이라고 합시다.
a→2a→6a
연봉은 매년 평균 '몇 배' 씩 오른 것인지 구할 때 기하평균을 사용합니다. 만약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구한다면 2+32=2.5 인데 a에 2.5를 두번 곱하면 6.25배가 되서 결과가 다릅니다.
a×2×3≠a×2.5×2.5
매년 평균 k배씩 올랐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등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a×2×3=a×k×k
k는 아래와 같이 구합니다.
k=√2×3=√6
이때 k가 기하평균입니다.
조화평균
조화평균은 역수의 산술평균을 구하고 다시 역수를 취한 것입니다.
11a+1b2=2aba+b
이러한 평균이 사용되는 상황을 알아봅시다. 우리가 아래 그림의 산을 오른다고 합시다. 올라갈 때와 내려갈 때의 거리는 l로 동일하다고 합시다. 올라갈 때의 속력은 a, 내려갈 때의 속력은 b입니다. 이때 평균속력이 조화평균입니다. 한번 직접 구하며 확인해봅시다.

속력은 거리/시간 입니다. 평균속력은 전체거리/전체시간입니다. 전체 거리는 2l 입니다. 전체 시간은 어떻게 구할까요? 시간은 거리/속력 이므로 올라갈 때 걸린 시간은 la 이고 내려갈 때 걸린 시간은 lb 입니다. 따라서 평균속력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평균속력 = 2lla+lb
l 을 약분해봅시다.
평균속력 = 21a+1b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속력 = 2aba+b
'고등수학 5분증명(2009개정) > 수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 고등수학] 단리법, 복리법 (0) | 2021.09.25 |
---|---|
[5분 고등수학] 등비수열의 합 (0) | 2021.09.24 |
[5분 고등수학] 등차수열의 합 (0) | 2021.09.24 |
[5분 고등수학] 역함수의 성질 (1)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 대소비교 증명 (0)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배수집합의 교집합과 합집합 (0) | 2021.09.22 |
[5분 고등수학]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 (0) | 2021.09.17 |
[5분 고등수학] 부분집합의 개수 쉽게 구하는 법 (0) | 2021.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