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것은 a와 c의 기하평균입니다.
$\sqrt{ac}$
기하는 도형을 연구하는 학문인데요. 따라서 기하평균은 도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직사각형을 봅시다.
위 직사각형과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a와 c의 기하평균입니다.
등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ac=b^2$
b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b=\sqrt{ac}$
기하평균이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봅시다.
작년에 연봉이 10배 오르고, 올해 20배 올랐다고 합시다. 연봉은 연 평균 몇배가 오른 것일까요? 산술평균으로 계산하면 15배 인데요. 산술평균으로 계산하면 어떤일이 벌어지는지 알아봅시다. 제작년 연봉을 a라고 한다면 현재 연봉은 아래와 같습니다.
$a \times 10 \times 20=200a$
2년 동안 200배가 올랐습니다. 산술평균인 15배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a \times 15 \times 15=225a$
2년 동안 225배 오른 것으로 계산됩니다. 결과가 실제와 달라집니다. 이런 경우 기하평균을 사용해야 합니다. 매년 연봉이 b배 씩 올랐다고 가정하면 아래 등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a \times 10 \times 20=a \times b \times b$
b를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b=\sqrt{200}$
10과 20의 기하평균입니다.
#영상
반응형
'etc > 쉬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 의 수렴성 증명 (3편) 증명 (0) | 2022.11.15 |
---|---|
e 의 수렴성 증명 (2편) 1+1/2!+1/3!+... 의 수렴성 (0) | 2022.11.11 |
e 의 수렴성 증명 (1편) 단조 수렴 정리 (0) | 2022.11.07 |
조화수열에는 왜 '조화'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0) | 2022.11.06 |
등차수열을 '산술수열', 등비수열을 '기하수열'이라고 부르는 이유 (0) | 2022.11.01 |
e^x 는 어디에 쓰일까? (지수함수적 증가는 언제 생기는걸까?) (0) | 2022.10.29 |
e^x 는 어디에 쓰일까? (뉴튼의 냉각법칙) (1) | 2022.10.28 |
e^x 는 어디에 쓰일까? (탄소 연대측정법) (1) | 202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