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상)/2. 방정식과 부등식

[모듈식 수학 (상)] 2. 방정식과 부등식 (37) 삼차방정식의 켤레근

by bigpicture 2018. 10. 8.
반응형

삼차방정식의 켤레근



아래와 같은 삼차방정식이 있다고 해봅시다.



두가지 경우로 나눠서 설명하겠습니다. 


1. 모든 계수가 유리수인 경우


q는 0이 아닌 유리수이고, 삼차방정식이 이라는 근을 갖는다면, 반드시 켤레근 을 갖습니다. 왜그런지 증명해봅시다. 


모든 계수가 유리수인 삼차방정식 중 를 근으로 갖는 경우를  살펴봅시다


1) 세 근이 모두 형태 


계수에 무리수가 생기므로 해당사항 없음


2) 두 근이 형태이고 한 근이 유리수 


유리수인 근을 α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됩니다.


두 근은 이차식에서 구해진 근이므로, 서로 켤레근관계여야 합니다. 따라서 를 갖는다면 켤레근 를 갖습니다. 


3) 한 근이 형태이고 두 근이 유리수


두 유리수 근을 α, β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됩니다. 



전개하면 계수에 무리수가 생기죠? 따라서 해당사항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계수가 유리수라면 2)번의 경우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켤레근을 가지므로 아래 명제가 참이됩니다. 


삼차방정식이 이라는 근을 갖는다면, 반드시 켤레근 을 갖는다. 



2. 모든 계수가 실수인 경우


모든 계수가 실수인 경우에는 삼차방정식이이라는 근을 갖더라도 반드시 켤레근 을 갖지는 않습니다. 계수가 무리수여도 상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p는 0이아닌 실수이고 삼차방정식이 라는 근을 갖는다면, 반드시 켤레근를 갖습니다. 왜그런지 증명해봅시다. 


모든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중 를 근으로 갖는 경우를  살펴봅시다


1) 세 근이 모두 형태 


계수에 무리수가 생기므로 해당사항 없음


2) 두 근이 형태이고 한 근이 실수 


실수인 근을 α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됩니다.



두 근은 이차식에서 구해진 근이므로, 서로 켤레근관계여야 합니다. 따라서 를 갖는다면 켤레근 를 갖습니다. 


3) 한 근이 형태이고 두 근이 유리수


두 유리수 근을 α, β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인수분해됩니다. 



전개하면 계수에 허수가 생기죠? 따라서 해당사항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계수가 실수라면 2)번의 경우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켤레근을 가지므로 아래 명제가 참이됩니다. 


삼차방정식이 이라는 근을 갖는다면, 반드시 켤레근 을 갖는다. 



전체 모듈 한눈에보기 링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