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학(하)]-[2.함수와 그래프]-[④무리함수]-[(35) 무리식의 정의]
무리식의 정의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식은 '다항식'과 '유리식'입니다. 유리식은 다항식을 포함하는 더 큰 개념입니다.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분수식은 다항식의 비로 표현되는 식입니다.
무리식은 유리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식을 말합니다. 무리수가 유리수로 나타낼 수 없는 실수 였던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유리식과 무리식을 합쳐서 '식'이라고 합니다.
무리식을 예로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sqrt{x+1}$
$\frac{1}{\sqrt{x+3}}$
다항식도 아니고, 다항식의 비도 아니므로 유리식이 아닙니다. 유리식이 아닌 식이 무리식이므로, 위 식은 무리식입니다.
질문을 하나 하겠습니다. 아래 식은 무리식일까요 아닐까요?
$\pi x+\sqrt{2}$
반응형
'수학(하) > 2. 함수와 그래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9) 무리함수의 그래프 easy (0) | 2021.05.22 |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8) 무리함수란 무엇인가 (0) | 2021.05.19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7) 무리식 분모의 유리화 (0) | 2021.05.18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6) 무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0) | 2021.05.04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4) 유리함수의 역함수 (0) | 2021.04.10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3) 유리함수의 그래프 - hard (0) | 2021.04.08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2) 유리함수의 그래프 - normal (0) | 2021.04.03 |
[모듈식 수학 (하)] 2. 함수와 그래프 (31) 유리함수의 그래프 - easy (0) | 2021.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