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합 $A$의 원소의 개수가 $m$개,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n$개라고 합시다. $A$와 $B$의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몇개일까요? $m+n$ 개일까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A$와 $B$의 교집합이 없다면 $m+n$개이고, 교집합이 있다면 $m+n$개가 아닙니다.
아래 그림을 봅시다.
B와 겹치지 않는 $A$의 원소의 개수를 $a$개, $A$와 겹치지 않는 $B$의 원소의 개수를 $b$, $A$와 $B$가 겹치는 부분의 원소의 개수를 $c$개라고 놓겠습니다.
$A$의 원소의 개수는 $a+c$개이고, $B$의 원소의 개수는 $b+c$개입니다. A와 B의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a+b+c$ 개입니다. A의 원소의 개수와 B의 원소의 개수를 더하면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중복해서 더해지기 때문에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한번 빼주어야 합니다.
일반화 시키면 아래와 같습니다.
$n\left ( A \cup B \right )=n\left ( A \right )+n\left ( B \right )-n\left ( A\cap B \right )$
반응형
'고등수학 5분증명(2009개정) > 수학2'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 고등수학] 단리법, 복리법 (0) | 2021.09.25 |
---|---|
[5분 고등수학] 등비수열의 합 (0) | 2021.09.24 |
[5분 고등수학] 등차수열의 합 (0) | 2021.09.24 |
[5분 고등수학] 역함수의 성질 (1)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 대소비교 증명 (0) | 2021.09.23 |
[5분 고등수학] 산술,기하,조화평균은 어디에 쓸까? (1) | 2021.09.22 |
[5분 고등수학] 배수집합의 교집합과 합집합 (0) | 2021.09.22 |
[5분 고등수학] 부분집합의 개수 쉽게 구하는 법 (0) | 2021.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