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연립방정식이 있다고 합시다.
$x_{1}+2x_{2}-3x_{3}=3 \\
2x_{1}-x_{2}+4x_{3}=1 \\
3x_{1}-3x_{2}+2x_{3}=1$
행렬형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begin{bmatrix}
1 & 2 & -3\\
2 & -1 & 4\\
3 & -3 & 2
\end{bmatrix}
\begin{bmatrix}
x_{1}\\
x_{2}\\
x_{3}
\end{bmatrix}
=\begin{bmatrix}
3\\
1\\
1
\end{bmatrix}$
3차원 공간을 떠올릴 수 있는 익숙한 미지수인 x,y,z 로 바꾸겠습니다.
$\begin{bmatrix}
1 & 2 & -3\\
2 & -1 & 4\\
3 & -3 & 2
\end{bmatrix}
\begin{bmatrix}
x\\
y\\
z
\end{bmatrix}
=\begin{bmatrix}
3\\
1\\
1
\end{bmatrix}$
관점 1. 세 평면의 교점
위 연립방정식의 미지수 x,y,z 를 아래 세 평면의 교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x+2y-3z=3 \\
2x-y+4z=1 \\
3x-3y+2z=1$
가장 일반적인 관점입니다.
관점 2. 벡터의 합성
위 연립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열벡터들의 합으로 변형해봅시다.
$\begin{bmatrix}
1\\
2\\
3
\end{bmatrix}x
+\begin{bmatrix}
2\\
-1\\
-3
\end{bmatrix}y
+\begin{bmatrix}
-3\\
4\\
2
\end{bmatrix}z
=\begin{bmatrix}
3\\
1\\
1
\end{bmatrix} $
좌변의 세 벡터를 합성하여 우변의 벡터를 만들고자 할 때, 곱해져야 하는 계수가 x,y,z 입니다.
관점 3. 선형변환
벡터에 행렬을 곱하면 벡터가 나옵니다. 행렬은 벡터를 다른 벡터로 변환합니다. 아래 수식을 변환의 관점으로 이해해봅시다.
$\begin{bmatrix}
1 & 2 & -3\\
2 & -1 & 4\\
3 & -3 & 2
\end{bmatrix}
\begin{bmatrix}
x_{1}\\
x_{2}\\
x_{3}
\end{bmatrix}
=\begin{bmatrix}
3\\
1\\
1
\end{bmatrix}$
곱해진 행렬은 $(x_{1},x_{2},x_{3})$ 라는 벡터를 $(3,1,1)$이라는 벡터로 선형변환하는 행렬입니다. 반드시 같은 차원으로 변환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행렬은 3차원벡터를 4차원 벡터로 변환합니다.
$\begin{bmatrix}
1 & 2 & -3\\
2 & -1 & 4\\
3 & -3 & 2\\
1 & 5 & 4
\end{bmatrix}
\begin{bmatrix}
x_{1}\\
x_{2}\\
x_{3}
\end{bmatrix}
=\begin{bmatrix}
3\\
1\\
1\\
5
\end{bmatrix}$
일반화 하면 이렇습니다. $m \times n$ 행렬은 n차원 벡터를 m차원벡터로 변환합니다.
'etc > 어려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그랑주 승수법 (쉬운설명) (1) | 2023.10.24 |
---|---|
기저변환 쉽게 이해하기 (좌표변환) (0) | 2023.08.10 |
고윳값과 고유벡터 쉽게 이해하기 (0) | 2023.08.09 |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 (모든 다각형 가능, +코딩) (0) | 2023.06.20 |
[좌표 변환] 글로벌 좌표를 로컬좌표로, 또는 그 반대 (0) | 2023.05.29 |
[벡터의 회전과 행렬] (1) 2차원 평면 (0) | 2023.05.24 |
미분과 극한 제대로 이해하기 (3) 극한을 엄밀하게 정의한 입실론-델타 (0) | 2023.01.30 |
미분과 극한 제대로 이해하기 (2) 극한의 등장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