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래 석판은 기원전 1700년경에 바벨로니인들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점토판입니다.
표면에는 사각형과 대각선이 새겨져 있고, 바벨로니아 숫자들이 새겨져 있습니다. MMA라는 기관에서 재구성한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운데 첫째 줄에 써있는 숫자는 1 24 51 10 입니다. 바벨로니아 인들은 60진법을 사용했으므로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1+\frac{24}{60}+\frac{51}{60^2}+\frac{10}{60^3}$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1+24/60+51/(60^2)+10/(60^3)
[1] 1.414213
1.414213 뭔지 알것 같으신가요? 루트 2의 근사값입니다. 기원전 1700년에 바벨로니아 사람들은 루트 2를 소수 6째 자리까지 정확하게 계산해 놓았습니다.
나머지 문자도 해석해봅시다. 왼쪽 상단의 <<< 이런 비슷하게 생긴 문자는 30입니다. 가운데 둘째줄에 있는 문자들은 42 25 35 입니다. 42 25 35 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42+\frac{25}{60}+\frac{35}{60^2}$
> 42+25/60+35/(60^2)
[1] 42.42639
42.42639 는 한 변이 30인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의 근사값입니다. $30\sqrt{2}$ 의 근사값인 것입니다.
전체적인 내용을 해석해보면, 한 변이 30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할건데 루트2가 사용되니 먼저 루트 2의 근사값을 구하고 이를 이용해서 대각선의 길이를 구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etc > 쉬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기호는 무슨 의미일까? ≜ (1) | 2023.09.12 |
---|---|
함수의 극한 설명 문과버전 (0) | 2023.04.13 |
복소수가 처음 등장한 책 (카르다노의 아르스 마그나) (0) | 2023.01.21 |
루트2 원하는 만큼 구하는 법 (0) | 2023.01.17 |
루트 2는 무리수 증명 (0) | 2023.01.16 |
0^0 을 정의할 수 없다는 잘못된 증명 3편 (0) | 2022.12.13 |
미분방정식에서 1계, 2계, 제차, 비제차, 선형 비선형이 뭔가요? (0) | 2022.12.13 |
0^0 을 정의할 수 없다는 잘못된 증명 2편 (0) | 2022.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