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500년대만 해도 파이의 근사값을 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인생 전체를 다 바쳐도 소수점 35자리 정도 구할 수 있었죠. 오늘날은 구글에 pi 100000 digits 라고 검색만 해도 소수점 10만자리까지 파이 근사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코드 몇줄이면 그 이상도 얼마든지 구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파이 근사값을 어디까지 구해놓았을까요? 구글에 Chronology of computation of π 라고 검색하면 파이 계산의 연대표가 나옵니다.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자료는 2020년 1월29일 입니다. Y-cruncher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사용한 컴퓨터 스팩도 나오네요. 303일 걸렸고 50조자리까지 구했다고 되어있습니다.
반응형
'etc > 쉬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보나치 수열과 토끼 문제 (왜 피보나치 수열이 성립할까?) (0) | 2021.07.13 |
---|---|
나르시시스트수 39자리 검증하기 (0) | 2021.07.12 |
나르시시스트 수 (자아도취된 수) (0) | 2021.07.09 |
수학적인 점과 선 시각화 방법 (0) | 2021.06.27 |
파이에 숨겨진 신기한 수열들 (2) | 2021.05.19 |
황금비 시리즈 (3) 피보나치수열에 들어있는 황금비 (순한맛) (0) | 2021.05.15 |
은행은 복리를 왜 만든걸까? (0) | 2021.05.15 |
뉴튼의 일화 (feat. 일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0) | 2021.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