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숫자는 고대 로마에서 쓰던 수입니다. 아라비아 숫자에 밀려서 현재는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시계나 목차등에는 여전히 사용됩니다.

로마숫자는 손가락을 본 떠서 만들었습니다. 1,2,3,4까지는 손가락을 하나씩 펴면서 만들어집니다.
I II III IIII
5는 조금 특별합니다. 손가락을 다 펴보면 V모양이 됩니다. 따라서 5는 V로 나타내기로 하였습니다.
I II III IIII V
6,7,8,9는 5에서 오른쪽에 1,2,3,4를 추가하여 만들어집니다. 오른쪽은 5에서 더 큰쪽으로 나아간다는 의미입니다.
VI VII VIII VIIII
10은 5를 나타내는 V 두 개를 위 아래로 붙여서 X로 나타냅니다.
1~10까지의 로마 숫자가 완성됐습니다.
I II III IIII V VI VII VIII VIIII X
사용하다 보니 4와 9가 쓰기가 너무 힘듭니다. I를 네번이나 그려야 하니까요. 쉽게 쓸 수 있는 방법이 없나 생각하다가 4를 5에서 1만큼 왼쪽으로 간 수로 나타내기로 합니니다.
IIII -> IV
9도 마찬가지로 10에서 하나 왼쪽으로간 수로 나타냅니다.
VIIII -> IX
1~10까지의 로마 숫자가 진짜 완성됐습니다.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11은 어떻게 나타낼까요? XI 입니다. 12는요? XII 입니다. 이정도만 알면 됩니다. 시계 볼 줄만 알면 되죠 뭐. 사실 몰라도 시계 볼 수 있습니다.
50,100,500,1000은 각각 L,C,D,M으로 나타내고 문자 위에 줄을 그으면 1000배를 의미하는데, 쓸일이 없으니 이건 패스합니다.
'etc > 쉬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와 byte의 차이 평생 기억하기 (비트와 바이트) (0) | 2021.01.26 |
---|---|
OBS 싱크 맞추기, frame -> ms 변환 (30fps, 60fps) (2) | 2021.01.24 |
소수(prime number)의 개수는 무한할까? (0) | 2021.01.23 |
두 유리수 사이에는 무리수가 항상 있을까? (1) | 2021.01.22 |
수학에서 닫혀있다가 뭔가요? (수의 사칙연산과 닫혀있다) (2) | 2021.01.18 |
유리수 세는 법 (0) | 2021.01.15 |
0.999...=1 의 나름 엄밀한 증명 (2편) (1) | 2021.01.15 |
0.999...=1 의 나름 자세한 증명 (1편) (0) | 2021.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