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학265

[모듈식 수학2] 1.함수의 극한과 연속 (4) 함수의 발산 (x → ∞ 또는 x → -∞) [수학2]-[1.함수의 극한과 연속]-[①함수의 극한]-[(4) 함수의 발산 (x → ∞ 또는 x → -∞) ] 함수의 발산 (x → ∞ 또는 x → -∞) 함수 f(x)의 x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작아질 때(음의 무한대로 커질 때), f(x)값은 한없이 커지거나 한없이 작아지는(음의 무한대로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들입니다. x가 한없이 작아질 때f(x)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x가 한없이 커질 때 f(x)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x가 한없이 작아질 때 f(x)값이 한없이 작아지면, 함수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합니.. 2019. 12. 2.
[모듈식 수학2] 1.함수의 극한과 연속 (3) 함수의 발산 (x → a 인 경우) [수학2]-[1.함수의 극한과 연속]-[①함수의 극한]-[(3) 함수의 발산 (x → a 인 경우) ] 함수의 발산 (x → a 인 경우) 함수 f(x)의 x값이 실수 a에 가까워질 때, f(x)값은 한없이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들입니다. x가 a에 가까워져 갈 때, f(x)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x가 a에 가까워져 갈 때, f(x)값이 작아지면(음의 무한대로 커질 때), 함수 f(x)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2019. 11. 28.
[모듈식 수학2] 1.함수의 극한과 연속 (2) 함수의 수렴 (x → ∞ 또는 x → -∞) [수학2]-[1.함수의 극한과 연속]-[①함수의 극한]-[(2) 함수의 수렴 (x → ∞ 또는 x → -∞)] 함수의 수렴 (x → ∞ 또는 x → -∞) 함수 f(x)의 x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작아질 때(음의 무한대로 커질 때), f(x)가 어떤 값에 가까워져 갈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들입니다. x가 한없이 커질 때 f(x)값이 L에 가까워져 간다면, 함수 f(x)가 L에 수렴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x가 한없이 작아질 때(음의 무한대로 커질 때), f(x)값이 L에 가까워져 간다면 함수 f(x)가 L에 수렴한다고 합니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2019. 11. 26.
[모듈식 수학 2] 3.적분 (1) 부정적분이란? [수학2]-[3.적분]-[①부정적분]-[(1) 부정적분이란?] 부정적분이란? 어떤 함수 F(x)를 미분했더니 f(x)가 되었습니다. 미분한 결과인 f(x)를 F(x)의 도함수라고 합니다. 이때, F(x)를 f(x)의 부정적분이라고 합니다. 적분은 미분의 '역연산'을 의미하는데 '부정'이라는 말이 붙은 이유는 정적분과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정적분 : 정해진 적분부정적분 : 정해지지 않은 적분 무엇이 정해지고, 정해지지 않았는가에 대해서는 이후에 배울겁니다. f(x)의 부정적분은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아래 등식이 성립할까요?? 성립하지 않습니다. F(x)는 f(x)의 수많은 부정적분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미분할 때 상수항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아래 함수들을 미분하면 전부 f(x)가 됩니다... 2019. 7. 28.
[모듈식 수학2] 1.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수렴 (x → a 인 경우) [수학2]-[1.함수의 극한과 연속]-[①함수의 극한]-[(1) 함수의 수렴 (x → a 인 경우)] 함수의 수렴 (x → a 인 경우) 함수 f(x)의 x값이 실수 a에 가까워질 때, f(x)도 어떤 값에 가까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을 "x가 a에 가까워질 떄, 함수 f(x)는 P에 수렴한다" 고 합니다. 줄여서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x → a 일 때, f(x) → P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2019.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