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컴퓨터가 0과 1로 모든 작업을 처리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0과 1만을 이용하는 수체계를 이진법이라고 합니다.
컴퓨터가 이진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이진법을 이용하면 전선 한가닥으로 모든 수체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류가 흐른다를 1, 흐르지 않는다를 0으로 놓으면 됩니다.
따라서 컴퓨터가 다루는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는 0 또는 1 이라는 이진법 한자리수입니다.

이 단위는 비트(bit)일까요 바이트(byte)일까요?
컴퓨터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주 헷갈리는 용어입니다. 헷갈리지 않도록 뇌에 각인시켜봅시다.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이진수입니다. 0 또는 1이죠. 이진수를 영어로 binary digit 이라고 합니다. binary 는 '이진법의' 라는 의미구요. digit은 숫자입니다.
따라서 binary digit은 이진수입니다. 0 또는 1입니다.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구요.
binary digit 을 줄여보세요. BInary digiT = BIT 입니다. 아래와 같이 연상하면 됩니다.
컴퓨터의 가장 작은단위 = 0 또는 1 = 이진수 = binary digit = bit
byte는 bit가 8개 모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하필 bit를 8개 모아서 또다른 단위를 만든 것일까요?
반응형
'etc > 쉬운 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인을 위한 그리스어 알파벳 (1편) 이미 아는거 꺼내보기 (0) | 2021.01.29 |
---|---|
등호의 탄생과 그 의미 (0) | 2021.01.28 |
근의 공식 유도 스피드 솔루션 (0) | 2021.01.27 |
성경에 나오는 파이(π) (0) | 2021.01.26 |
OBS 싱크 맞추기, frame -> ms 변환 (30fps, 60fps) (2) | 2021.01.24 |
소수(prime number)의 개수는 무한할까? (0) | 2021.01.23 |
두 유리수 사이에는 무리수가 항상 있을까? (1) | 2021.01.22 |
로마 숫자 죽을때 까지 기억하는 법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