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의 지름은 왜 2πr 인지 알아봅시다. 원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나서 사람들은 원의 둘레의 길이를 원의 지름으로 나눈 값을 계산해보았습니다. 놀랍게도 원의 크기와 상관 없이 이 비율은 일정했습니다. 이 값을 원주율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원주율=(원의 둘레의 길이)/(원의 지름)
원주율은 3.1415... 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유리수로는 표현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려운 말로 하면 무리수 중에서도 초월수입니다.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고 원주율에 그리스어 π 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따라서 아래 수식이 성립합니다.
π=(원의 둘레의 길이)/(원의 지름)
원의 둘레의 길이를 l, 지름을 2r 이라고 놓으면 위 식은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π=l2r
양변에 2r을 곱하고 정리합시다.
l=2πr
원의 둘레의 길이가 2πr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중1-2 > 평면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등수학 1-2] 부채꼴 호의 길이 구하는 식은 어떻게 유도될까? (0) | 2023.04.19 |
---|
댓글